Friday, December 30, 2016

번역 -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 설명


오랜만에 설명 자료 하나 번역합니다. 주로 http://blog.aylien.com/introduction-generative-adversarial-networks-code-tensorflow/ 를 보고 번역합니다만 적당히 편집과 내용추가가 있어서 1:1 번역은 아닙니다.

GAN?

시선을 끌기위해 예제부터 뽑아오자. 아래 예제가 GAN으로 만든 - 요즘 신문기사처럼 표현하면 "인공지능이 그린" 그림이다. 








서문

최근에 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가 무지무지 인기를 끌고있다. GAN은 Ian Goodfellow가 https://arxiv.org/abs/1406.2661 등에서 제안한 것이다. 참고로 2014, 2015년에 Adversarial example 등 용어가 범람하면서 다소 개념이 애매한 부분이 있는데, 이는 Ian Goodfellow의 Quora답변을 참고하자. 아무튼 위대한 Yann LeCun이 꼽은 중요한 기술 1위 GAN이라는게 뭔지 한번 알아보겠다.

Discriminative vs. Generative 구별 대 생성 모델

간단하게 구별 모델과 생성 모델을 짚고 넘어가자.
  • 구별 모델은 입력-->출력의 관계를 알아내는 것이 목적이다. 즉, 조건부 확률 p(y|x)을 추정하자는 것.
  • 생성 모델은 더 일반적인 입력과 출력의 관계를 알아내려는 모델이다. 즉 p(x, y)을 추정하자는 것. p(x, y)를 알면 당연히 p(y|x)도 알아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재밌는 일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x, y)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그래서 이름이 생성 모델이다. 더 강력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 만큼 더 어렵다.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그림 출처: https://ishmaelbelghazi.github.io 라고 나오는데 이 블로그가 사라짐..)

위의 그림이 GAN의 구조다. 간단하지요! 그야 간단히 그렸으니까 그렇고, 저기에서 보통 discriminator (구별망)와 generator (생성망)가 여러 층의 신경망로 이루어진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부분의 연구가 이미지를 다루고 있고, 그래서 두 신경망도 컨브넷인 경우가 많다. 자, 핵심은,
GAN의 핵심은,

  1. 생성망은 최대한 실제 데이터와 비슷한 데이터를 생성해내려고 하고
  2. 구별망은 열심히 그 둘을 구별하려고 한다는 것
이다. 이를 원문에서는 minimax two-player game이라고 표현했다. 

수식으로는 아래처럼 표현한다.



  • arg max D: 여기에서는 목적함수를 극대화하는 분류망 D를 찾는다
    • 첫번째 항 E[Log D(x)]은 실제 데이터 (x), 예를 들어 진짜 그림을 넣었을 때의 목적함수의 값이다. 
    • 두번째 항 E[log(1-D(g(z)))]은 가짜 데이터 (G(z)), 즉 생성망이 만들어낸 그림이 들어가있다. 그리고 arg max D인데 항 내부는 1-D(G(z))이다. 다시 말해 둘째 항의 극대화는 D(G(z))의 극소화다.
    • 결과적으로, 이 두 항의 목적함수를 이용해 
      • 진짜 그림을 넣으면 큰 값을,
      • 가짜 그림을 넣으면 작은 값을
    • ..출력하도록 구별망 D를 열심히 학습시키자는 것이다.
  • arg min G: 이 말은 목적함수를 극소화하는 생성망 G를 찾자는 이야기다.
    • G는 두번째 항에만 포함되어있다.
    • 전체 함수를 극소화하는 G는,  둘째 항을 극소화하는 G이고, 결국 D(G(z))를 극대화하는 G이다.
    • 결과적으로, 구별망을 속이는 생성망 G를 열심히 학습시켜보자는 이야기다.

코드

예제 (깃헙 저장소 원문)의 일부를 간단히 소개하겠다. 코드는 텐서플로우로 되어있다.


 def generator(input, hidden_size):  
   h0 = tf.nn.softplus(linear(input, hidden_size, 'g0'))  
   h1 = linear(h0, 1, 'g1')  
   return h1  

 def discriminator(input, hidden_size):  
   h0 = tf.tanh(linear(input, hidden_size * 2, 'd0'))  
   h1 = tf.tanh(linear(h0, hidden_size * 2, 'd1'))  
   h2 = tf.tanh(linear(h1, hidden_size * 2, 'd2'))  
   h3 = tf.sigmoid(linear(h2, 1, 'd3'))  
   return h3  


각각 생성망과 구별망이다. 여기에서 중요한 내용이 언급되었다. 생성망보다 복잡하게 구별망을 짜야한다!

사실은 아래 코드가 핵심이다.

 with tf.variable_scope('G'):  
   z = tf.placeholder(tf.float32, shape=(None, 1))  
   G = generator(z, hidden_size)  
 with tf.variable_scope('D') as scope:  
   x = tf.placeholder(tf.float32, shape=(None, 1))  
   D1 = discriminator(x, hidden_size)  
   scope.reuse_variables()  
   D2 = discriminator(G, hidden_size)  
 loss_d = tf.reduce_mean(-tf.log(D1) - tf.log(1 - D2))  
 loss_g = tf.reduce_mean(-tf.log(D2))  

아래 두 줄이 각각 구별망과 생성망에 arg max D, arg min G를 구현한 부분이다. loss를 감소하도록 학습되기 때문에 loss_d는 위에서 소개한 식과 부호가 반대다.

결과




보강

위의 영상을 보면 결과가 조금 아쉬운데, 이에 대해 https://arxiv.org/abs/1606.03498에서 해결 방법을 소개했다. 미니배치를 써라! 구별망이 한번에 여러 샘플을 보게 하라는 내용이다. 그 외에도 몇 가지 방법이 있는데 실제로 써본적이 없으므로 원문을 참고하면 된다.

그 결과는? 아래처럼 더 잘된다.




------

번역은 여기까지입니다. 우리모두 열공!

Wednesday, December 7, 2016

Stochastic Gradient Descent 자동 학습속도 조절 알고리즘 정리


이미지와 내용은 http://www.deeplearningbook.org을 참고했습니다. 저도 별로 이해하고있는게 없어서 간단히 요약만 합니다.


  • AdaGrad를 보면, 그라디언트를 1/sqrt(r)에 비례하도록 크기를 조절합니다(노랑색). 그리고 r은 그라디언트^2를 누적해서 더한 값입니다(초록색). 결과적으로 학습이 진행되면서 학습속도(learning rate)가 지속적으로 감소합니다. 
  • 이 방법은 Convex 최적화 관점에서 보면 - 즉 풀고자하는 문제가 컨벡스라면 - 별 문제 없습니다. 하지만 딥러닝 모델의 경우에 어느정도 학습을 진행하다보면 학습 속도가 너무작아진다는 문제가 실험적으로 밝혀졌습니다.
    • 아마도 이는 saddle point때문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 RMSProp은 AdaGrad와 비슷하지만 (노랑색) 차이가 있습니다 (빨강색). ρ (rho)는 보통 0.9를 사용하는데, 쉽게 이야기하면 ρ만큼만 기억하고, (1-ρ)만큼만 업데이트를 합니다. 혹은 이 과정이 계속되면 아주 오래전의 그라디언트는 지속적으로 ρ가 곱해지면서 값이 작아지게 되고, 최근에 추가된 그라디언트가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발휘하게됩니다. 결과적으로 학습 속도의 감쇠가 AdaGrad보다 약하게 일어납니다.
  • RMSProp은 힌튼의 Coursera 강의에서 처음 소개되었고 한동안 (사실 지금도) 가장 널리 쓰인 방법입니다. 사람들이 강의노트를 인용하곤했죠.



  • 이 내용은 RMSProp에 (빨강색) Nesterv momentum을 추가한겁니다 (파랑색). Momentum = 관성. 즉 부화뇌동;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차분하게 업데이트한다고 생각을 하시면 됩니다.


  • Adam은 최근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보다시피 1st moment (s), 2nd moment (r)을 구하는 과정에서 관성(momentum)을 적용합니다. 
  • correct bias는 제가 잘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

김범수님 블로그에 더 잘 정리되어있으니 참고하셔요. 


Monday, December 5, 2016

음성/음악신호+머신러닝 초심자를 위한 가이드 [3편]

음성/음악신호+머신러닝 초심자를 위한 가이드 전체 게시물은 여기를 클릭하세요.

서문

가이드 3편입니다. 기존 가이드는 1편, 2편을 참고하세요.
모 대학원의 모 분께서 음악 신호와 머신러닝에 대한 질문을 주셨는데 중요한 점을 콕콕콕콕콕콕 집어서 물어보셔서 블로그에 글을 쓰기로 했습니다.

질문-답변 1


음악 인식쪽이 생소하다 보니 일단 먼저 music genre classificaiton(음악,음성신호 입력 --> [전처리] --> [특징값 추출] --> [분류기] --> 결과) 를 주제로 toy porject를 해보려고 합니다. 툴은 librosa를 쓸 예정입니다.

궁금한 점이 몇가지 있는데

1) 혹시 mp3파일이 주어졌을때 전처리를 하고 특징값 추출을 하는 하는 소스코드가 있으시면 공유 가능한가요?

-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추출과정은 https://github.com/fchollet/keras/blob/master/keras/applications/audio_conv_utils.py#L27 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여기에서는 mel-spectrogram만 뽑는데, 여기에 다른 추출기를 추가하시면 되겠습니다.

2) 제 계획은 librosa가 제공하는 여러개의 특징을 최대한 많이 사용하고 후에 PCA등으로 후처리를 하려고 하는데, librosa가 제공하는 특징 (http://librosa.github.io/librosa/feature.html)중에 음악 분류에 적합한 특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 MFCC는 필수고, 그 외에 spectral-시리즈와 zero-crossing + tempo (http://librosa.github.io/librosa/generated/librosa.beat.estimate_tempo.html) 등을 쓰시면 됩니다.
그리고 특징값 추출 전에 http://librosa.github.io/librosa/generated/librosa.decompose.hpss.html 을 사용하셔서 두 채널을 따로 하시면 도움이 될겁니다.

질문-답변 2


지난번에 말씀하신데로 간단한 특징 추출 과정을 수행해보고 있는데, 몇가지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1) https://github.com/fchollet/keras/blob/master/keras/applications/audio_conv_utils.py#L27 을 참고하라고 하셔서 소스코드를 살펴봤습니다. 보통 음악 파일들은 3분이상이며, 제각기 길이가 다른데 소스코드에서 음악 파일의 가운데 DURA = 29.12 초 구간만을 프로세스 하더라고요. 이렇게 하는 이유는 각 음악 파일 별로 길이(재생 시간)가 다르지만 같은 크기(차원)의 특징 벡터를 얻기 위함인가요? 그리고 가운데 29초만으로도 충분한 정보가 있다고 가정하고 처리하는건가요?  끝으로 이렇게 가운데 구간을 trim 하는 기법이 일반적인 기법인가요?

- 이유: 맞습니다. 시간에 따른 정보를 어떻게 합치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링크의 컨브넷은 입력 신호의 길이를 29.12초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이보다 짧은 경우에는 나머지를 0으로 채워서 입력으로 넣어도 무방하지만 긴 경우에는 적당한 구간을 잘라줘야합니다. 그리고 말씀하신대로 가운데 29초가 충분한 정보가 있다고 가정하는 것입니다. 물론 상황에따라 다를테고, 제가 논문에서 사용한 음원은 기본적으로 30-60초의 '미리듣기'용 음원입니다. 이런 경우엔 사실 어디를 사용하더라도 무방하겠죠.
가운데를 사용하는건 아무래도 가장 단순하고 그러면서도 적당히 작동하는 방법입니다. 그 외에도 대중 가요의 경우 60-120초 사이에 하이라이트 (혹은 chorus, 혹은 싸비..)가 있다고 가정할수도 있구요.  이 외에도 가장 중요한 구간을 뽑아주는 방법를 여러가지로 생각해볼 수 있겠죠. 간단한 방법으로는 frame별로 energy를 계산해서 평균 에너지가 제일 높은 30초를 뽑을수 있겠죠. 보다 복잡한 방법으로는 음악 내 다양한 구간을 잘라주는 알고리즘을  사용한 뒤에 어디가 하이라이트인지 뽑을수도 있구요. 이는 원하시는 성능과 연산량에 따라 결정하시면 됩니다.

2)  음성/음악신호+머신러닝 초심자를 위한 가이드 [2편]을 보면,  프레임 마다 특징값을 뽑는 것이 아니라 오디오 신호 전체를 표현할 특징값을 찾기 위해 평균 및 분산 MAX를 뽑는다고 하는데 혹시 관련 논문 아시면 제목 알려주 실 수 있나요?
그리고 1)질문과 연관지었을 때 제가 음악 처리를 할때, 음악 파일 1개의 전체 구간에 대해서 평균 분산을 구하게 되면 아무래도  정보가 많이 뭉개질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1)번의 코드처럼 아예 처음부터 가운데 구간이 충분히 의미 있다고 가정하고 29.12초의 짧은 구간만을 평균, 분산 등을 이용해서 오디오 레벨 특징을 뽑으려고 하는데  reasonable한 방법인가요?

http://dspace.library.uvic.ca:8080/bitstream/handle/1828/1344/tsap02gtzan.pdf?sequence=1 를 보시면 평균과 분산 등을 사용했습니다. 그 외에도 frame-based feature를 clustering하고 이를 기반으로 quantized count를 사용하는 방법(http://dawenl.github.io/publications/LiangZE15-ccm.pdf)도 있습니다.
그리고 가운데 구간만 사용하는것이 곡 전체를 사용하는 것보다 나을것이라는데 동의합니다.  

3) 특징 추출 시 HPSS를 통해 2채널로 분리한 뒤  특징을 추출하라고 하던데, 예를들면 제가  LIBROSA에서 제공하는 특징들 중   A,B,C 를 추출하려고 한다면, 하나의 음원으로부터 각 채널별로  A,B,C를 추출해서 총 6개(3*2)의 특징을 구하라는 말씀이신가요? 예제들을 잘 보면 어떤 특징은 H채널에서 뽑고, 어떤 특징은 P채널에서 뽑더라고요. (https://github.com/librosa/librosa/blob/master/examples/LibROSA%20demo.ipynb

말씀하신대로 Harmonic + Percussive에서 모든 특징을 다 뽑아도 큰 문제는 없겠지만 가장 relevant한 정보만 뽑는다고 한다면, 각 트랙에 맞춰서 특징값을 골라주는게 좋겠네요. 하모니나 pitch에 관련된 특징값(chroma-어쩌구, ) 은 harmonic 트랙에서 뽑고, rhythm/onset/tempo 등은 percussive 트랙을 이용하시구요. spectral_어쩌구; (spectral centroid, ..)가 좀 애매한데, 얘네들은 분리하기 전 채널을 이용해 추출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4) 종종 특징들을 뽑고 아래와 같이  LOG화 시키던데 이렇게 하는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며, 인식 향상에 도움이 되나요? 
# Convert to log scale (dB). We'll use the peak power as reference.
log_S = librosa.logamplitude(S, ref_power=np.max)
네. 우선 STFT/CQT/Melgram등의 time-frequency representation은 log()를 씌워 데시벨 스케일로 바꿔주는것이 좋습니다. (그 외에도 일반적인 머신러닝에서 하듯 zero-mean unit-variance로 standardisation을 해주는것이 좋을테구요.) 이런 전처리는 인식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5) 음악 인식 분야에서도  CNN을 이용한 기법들이 도입되고 있다고 들었는데, 보통  CNN의  input 은 주로 어떻게 처리해서 주나요? 그리고 혹시 관련 논문을 알려주실 수 있나요?
여러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Pitch와 관련된 정보 추출: CQT를 사용하고 대역폭을 음의 fundamental frequency가 분포할 수 있는 영역으로 제한한다. (대략 30Hz - 3kHz정도가 되겠죠)
리듬관련: STFT나 Mel-spectrogram을 사용한다.  
풀고자 하는 문제가 사람의 musical perception에 관련된 경우 (예: 감정 인식): Mel-spectrogram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STFT도 가능하면 테스트해본다. 주파수 대역은 대략 4kHz - 11K를 고려한다.
잘 모름: 8kHz나 16kHz로 샘플링하고 STFT (n_fft=1024 또는 512)와 Mel-spectrogram (128 bins)를 써본다.
음악이 아니라 음성이 입력이다: Mel-spectrogram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한다.
음악, 음성이 아니라 '소리'에 관련된 작업이다: STFT를 사용하고 Mel-spectrogram을 고려해본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논문은 아직 없습니다. 제가 대략 2-4개월내로 하나 작성하려고 계획중입니다. 

6) 제가 앞으로 해보려는 것은 일단  음원이 주어지면 고정 길이로 음원 구간을  trim  시키고, 이 구간에 대해 여러개의 특징벡터를 추출하려고 해요. 이렇게 하면, 음원에 대해서 (프레임 개수)  X (프레임당 특징 벡터들의 차원의 합)의 행렬이 만들어 질텐데, 음악 장르를 구분하는  task라고 가정하고  CNN 의 input으로서 이 이차원 행렬 그대로 주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2)에서 언급한것처럼 이 2차원 행렬의 프레임별  평균, 분산등을 구해서  1차원 벡터로 차원을 축소 한 뒤 입력으로 주는 것이 좋을까요?

데이터 개수가 충분히 많다면 2차원 데이터를 쓰시고, 그렇지 않으면 1차원 벡터로 입력 데이터의 크기를 줄여야겠죠. 장단점이 있어서 해보기전엔 정하기 어려워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