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day, August 23, 2019

Q&A. 오디오 코덱/디코더와 머신러닝/딥러닝

사운들리 그룹에 올라온 질문과 제 답변을 정리한 글입니다.

----------

질문

오디오 데이터셋의 오디오 포맷이 wav와 flac으로 섞여있습니다. 이를 librosa.load로 불러온 뒤 스펙트로그램이나 mfcc로 변환하려고 합니다. 이 경우에 flac을 wav로 변환해서 전체 파일 포맷을 동일하게 만들어둬야 하나요? 아니면 실시간으로 librosa.load로 불러서 바로 스펙트로그램, mfcc등을 계산하면 되나요?

1줄 답변

미리 변환하지 않고 그냥 librosa.load를 바로 쓰시면 됩니다.

3줄 답변

Flac은 무손실 압축입니다. 즉, 디코더 구현에 관계없이 원본 파형을 그대로 유지해야합니다. 따라서 아무 디코더나 쓰셔도 괜찮습니다.

여러줄 답변

질문의 요지는 "flac을 wav로 변환해서 전체 파일 포맷을 동일하게 만드는 과정"과 "librosa.load에서 사용하는 flac 디코딩 과정"에 차이가 있냐는 것입니다. 일단 flac은 무손실 압축이므로 3줄 답변에서 보듯이 어떻게 디코딩하든간에 차이가 없습니다.

조금 더 알아보면, librosa는 자체적인 오디오 디코더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librosa는 backend로 시스템에 깔려있는 오디오 디코더를 사용합니다. 만약 디코더가 아예 없다면 에러 메시지를 내보냅니다. 그런데 보통 리눅스나 맥에서는 ffmpeg을 많이 사용하죠. 그리고 아마 직접 flac을 wav로 변환하더라도 마찬가지로 시스템에 설치된 (ffmpeg) 디코더를 사용하겠죠. 따라서 결과는 같습니다.

만약 mp3같이 손실 압축이라면 디코더 버전이나 구현이 중요한가요?

사실, 손실 압축이어도 마찬가지입니다. mp3를 예로 들면, mp3 코덱이 차이가 날 수 있는 부분은 인코더입니다. 공개된 인코더인 LAME같은 경우는 사실 성능이 별로 좋지 못합니다. 대부분의 mp3 인코더는 유료이고, 어떤 mp3 인코더를 쓰느냐에 따라, 같은 스펙 (예: 128 kbps) 이라도 성능(음질)에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질문의 상황은 디코딩 과정이 달라질 수 있냐는 것이죠. 오디오 디코더는 구현 방식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다만 페북 그룹의 현동일님께서 답변해주신것처럼, 임베디드 시스템에 디코더를 구현한다든지 하면 연산량이나 연산방식 등의 제한으로 인해 다소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건 머신러닝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겠죠.

mp3 압축 여부가 학습에 영향을 미치나요?

이건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별도의 포스팅으로 정리하도록 하죠.

No comments:

Post a Comment